최근 PMI 이슈를 통해 미국 증시가 소폭 조정을 받고 있다. PMI는 Purchasing Managers' Index의 약자이며 한국어로는 '구매관리자지수'라 부른다. 구매관리자지수라 함은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신규 수주', '생산', '고용', '공급자 운송시간', '재고'와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하는 지표이다. 그러면 2024년 4월에 발표된 3월 PMI 지표가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PMI의 뜻과 중요성!
앞서 PMI는 구매자관리자지수라 했으며 이는 기업 구매 담당자들의 기업 운영에 대한 비용에 긍정적인 전망을 나타내는지 부정적인 전망을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지표이다. 이러한 지표를 통해 앞으로의 미국 경기 전망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위 지표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이다. ISM은 미국의 공급관리자협회로 '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의 약자를 따왔다. 협회는 매달 400개 이상의 기업의 구매 관련 중역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며 ISM은 PMI지수를 조사한 기관의 이름이라 생각하면 된다.
- PMI 기준 지수 : 50
- PMI가 50 이상인 경우 : 경기 확장 국면 → 인플레이션 증가 → 장기간 지속되면 하이퍼 인플레이션 발생
- PMI가 50 이하인 경우 : 경기 축소 국면 → 인플레이션 하락 → 장기간 지속되면 경기 침체가 발생
PMI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구매관리자들의 설문조사 응답에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다면 50 이상의 지수가 나오고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다면 50 이하의 지수가 나오는 것이다.
PMI 지수의 영향력!!
PMI는 한국시간 2024년 4월 1일 23:00에 발표했다. 이때의 미국 증시가 어떻게 흘러갔는지 알아보자.
- 미국 2년물 국채 금리가 0.1% 상승
- 발표 후 2시간 동안 나스닥 지수 0.9%가량 하락 발생
- 발표일 다음날 갭하락하여 나스닥 지수 16200P에서 장시작
이렇게 PMI지표 발표의 후폭풍으로 국채 금리의 움직임과 증시의 움직임을 살펴보았다. PMI 지표가 50 이상이 발표됨에 따라 16개월 동안 50 이하의 경기 축소 국면에서 경기 확장 국면으로 반전되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우려로 국채 금리는 상승하고 미국의 증시는 하락이 발생하였다. 우리는 이것을 통해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 증시가 하락하고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 증시가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MI 지수가 50.3이 발표되어 경기 확장 국면으로 진행되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우려가 있고 그 결과로 올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우려가 생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파월의 FOMC 발표로 올해 0.75%의 기준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었는데 금리 인하에 제동이 걸리면 이를 선반영 했던 미국 증시가 하락할 수 있다.
PMI 발표 일정!!!
과거 미국 PMI 지표 발표일을 살펴보면 매월 초에 발표한다. 월초가 다가오면 PMI 지표 발표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국채 금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것이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하다 보면 경제를 보는 눈이 높아질 것이다!
3월 PMI 지수가 50.3으로 50 이상이 나왔음에도 '골디락스 경제'가 지속된다면 코어 PCE 물가를 자극하지 않을 수도 있다. 2월의 코어 PCE 물가는 2.8%로 계속해서 내려가는지 지켜보아야 할 것이지만 내 예상은 유가가 100달러를 넘지 않는 이상 6월까지 코어 PCE 물가는 2.5%까지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연준(Fed) 의장인 파월이 말했던 대로 금리 인하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며 인플레이션은 상승하여 3% 정도에서 유지하고 기준 금리는 4.75% ~ 5% 정도에서 유지하며 장기전으로 금리 인하를 시도하여 인플레이션의 급격한 상승을 막을 것으로 예상한다. 2차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미국 증시는 강세장이다!!
'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CNN 공포 탐욕 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공포 탐욕 지수의 투자 활용법!! (2) | 2024.04.06 |
---|---|
한국 부동산이 위기인 이유! 부동산이 하락한 이유!! 건설사 위기(태영 건설)!!! (0) | 2024.04.02 |
[2024년 3월] 서학개미 미국 주식 순매수 Top 5 종목 분석! (0) | 2024.03.31 |
[2024년 2월 미국 PCE 물가 발표 결과] 미국 개인 소득과 소비 전월 대비 증가! 코어 PCE 2.8%로 예상치 부합!! (0) | 2024.03.30 |
가치 투자와 모멘텀 투자의 뜻과 차이점! 장단점!! (3)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