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차트를 보면서 '바닥인 지점에서 매수를 했으면 수익이 얼마야?'라는 생각들을 한 번씩 해본다. 그리고 다음에 저런 기회가 오면은 꼭! 사야지 다짐을 하며 바닥에서 매수를 하기 위해 기다리지만 주식이 크게 빠지기 시작하면 뉴스, 유튜브 등 주변에서 안 좋은 이야기들이 쏟아지며 오히려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손절해야 되나?'라는 불안한 감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불안감을 없애고 약세장에서도 매수할 수 있는 강심장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이 바로 MDD이다! MDD는 Maximum DrawDown의 약자이며 최대낙폭 또는 최대 손실률을 의미한다. 즉 최고점 대비 최대로 주가가 하락한 퍼세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MDD는 어떻게 계산할까?
MDD는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MDD = ( 고점 - 저점 ) / 고점 X 100
식만 봐서는 이해가 안 될 수 있기에 메타 플랫폼스를 예로 계산하는 방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다.
1번 구간에서는 MDD가 35%가 된다. 즉, 2018년 7월 최고점에 매수를 했다면 계좌에서 -35%의 손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 2018년 7월 : 195.5 달러 최고점 달성
- 2019년 1월 : 127 달러 최저점 달성
- MDD = ( 고점 - 저점 ) / 고점 X 100 = ( 195.5 - 127 ) / 195.5 X 100 = 35%
2번 구간에서는 MDD가 75%가 된다. 즉, 2021년 9월 최고점에 매수를 했다면 계좌에서 -75%의 손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 2021년 9월 : 380 달러 최고점 달성
- 2022년 11월 : 95 달러 최저점 달성
- MDD = ( 고점 - 저점 ) / 고점 X 100 = ( 380 - 95 ) / 380 X 100 = 75%
그러면 두 구간을 보면서 MDD가 1번 구간에서는 35%이며 2번 구간에서는 75%인데 어디를 기준으로 하여 바닥을 잡아야 하는지 의문이 생기게 될 것이다. 1번 구간의 MDD 35%를 믿고 2번 구간 최고점 대비 -35%의 주가 수준인 247 달러에 주식을 매수하였다면 -62%의 손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바닥이라 생각하고 매수했지만 바닥이 아닌 가슴 수준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MDD는 높은 것이 좋을까? 낮은 것이 좋을까?
그러면 여기서 우리는 MDD는 높은 것이 좋은지 낮은 것이 좋은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정답을 먼저 말하자면 사람의 성향에 따라 답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MDD가 높은 것에 투자하는 것으로 'High Risk! High Return!!'을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계좌에 -50%가 찍힌 것을 보는 순간에도 무신경하게 멘탈 관리를 하며 매수 버튼을 계속 누를 수 있어야 한다.
예금을 좋아하는 안정적인 투자자라면 MDD가 낮은 것에 투자하는 것으로 'Low Risk! Low Return!!'을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내가 10%의 수익을 얻을 동안에 공격적인 투자자가 50%, 100%의 수익을 얻는 것을 보며 생기는 FOMO(Fearing of missing out)를 외면하며 나만의 길을 갈 수 있어야 한다.
SPY ETF와 QQQ ETF의 MDD 및 수익률 비교!!!
미국의 양대 ETF 중 하나로 가치주를 대표하는 SPY ETF의 MDD와 수익률을 비교 분석해 보자.
- 2009년 리먼사태 때 최고 MDD -57%를 보여준다.
- 2007년 10월 최고점 : 157 달러
- 2009년 3월 최저점 : 67 달러
- 2024년 3월 현재 주가 : 512 달러
- 2007년 10월 최고점에서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 : 226% 수익
- 2009년 3월 최저점에서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 : 664% 수익
양대 ETF 중 나머지 하나인 성장주를 대표하는 QQQ ETF의 MDD와 수익률을 비교 분석해 보자.
- 2002년 닷컴버블이 꺼질 때 최고 MDD -84%를 보여준다.
- 2000년 3월 최고점 : 122 달러
- 2002년 10월 최저점 : 19.5 달러
- 2024년 3월 현재 주가 : 444 달러
- 2000년 3월 최고점에서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 : 264% 수익
- 2002년 10월 최저점에서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 : 2177% 수익
※ 리먼사태 때 QQQ를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은 어떠한지 알아보자.
- 2007년 10월 주가 : 55 달러
- 2009년 3월 주가 : 26 달러
- 2007년 10월에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 : 707% 수익
- 2009년 3월에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 : 1608% 수익
구 분 | 리먼사태 고점 매수 수익률 | 리먼사태 저점 매수 수익률 | 최고 MDD |
SPY ETF | 226 % | 664 % | -57 % |
QQQ ETF | 707 % | 1608 % | -84 % |
SPY와 QQQ ETF의 MDD 및 수익률 분석을 통해 'High Risk! High Return!!'을 확인할 수 있다.
차트에 MDD 지표를 추가하는 방법!!!
차트에 MDD지표를 지원하는 한국 주식 어플은 없다. 하지만 '트레이딩뷰'라는 사이트를 통해서는 확인이 가능하다. Google 계정으로 간단하게 회원 가입 후 지표추가 -> 커뮤니티 스크립트 -> Maximum DrowDown 지표를 추가하면 MDD를 계산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MDD가 높다는 것은 변동성이 크다는 뜻과 동일하며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추어서 버틸 수 있는 최대의 MDD가 허용하는 종목을 선택하여 매수해 나가길 바란다. '계좌에는 수익률이 마이너스라도 매도하기 전까지는 손실이 아니다!'라고 생각하며 장기적인 안목으로 성공 투자를 했으면 한다.
'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지표를 무시하지 말자! 인간 지표의 원리와 심리 그리고 신뢰성!! (0) | 2024.03.10 |
---|---|
엔비디아 주가는 1000달러 가능할까? 낙관론과 고점론! (0) | 2024.03.09 |
미국 주식 M7의 뜻과 시총 순위! M7의 잠재력과 현재 주가 파악!! (0) | 2024.03.04 |
Buy The Dip! 레버리지 ETF 투자 방법!! QLD,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 (0) | 2024.03.03 |
CCI지표의 뜻과 원리! 투자 활용법!!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