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

CCI지표의 뜻과 원리! 투자 활용법!!

by 울산 페페 2024. 2. 28.
반응형

CCI-표지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함에 있어서 타점 잡는 것에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에 내가 사용하는 보조지표인 CCI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CCI란 Commodity Channel Index라고 하며 현재의 주가와 이동평균 가격 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보조지표이다.


CCI는 어떻게 계산할까?

 CCI는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지만 계산식은 크게 의미가 없다. 주식 어플이나 프로그램에서 CCI는 자동적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CCI의 값이 어떤 의미를 뜻하는지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 CCI = (M - m) / (0.015 * d)
  • M = (고가 + 저가 + 종가) / 3
  • m = M의 일정기간 이동평균
  • d = M과 m사이 편차의 절댓값을 단순평균한 값

CCI를 주식투자에 어떻게 활용할까?

테슬라-월봉차트의-CCI-지표
테슬라 월봉차트의 CCI 지표

  • CCI의 기본 밴드는 -100 ~ +100이다.
  • 0 이상의 양수일 때는 주가가 상승추세이며, 0 미만의 음수일 때는 주가가 하락 추세라는 것이다.
  • -100 이하의 경우 과매도 구간, +100 이상의 경우 과매수 구간으로 볼 수 있다.
  • -100 이하에서 -100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구간으로 볼 수 있다.
  • +100 이상에서 +100을 뚫고 내려갈 때 매도구간으로 볼 수 있다.
  • 위 두 가지 방법의 매수, 매도 타점을 잡는다면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 수 있는 것이다.
  • '머리 꼭대기에서 팔 거야!'라는 사람은 +100 이상에서 0이 깨지는 순간까지 기다려 볼 수 있다.

CCI 지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지고 테슬라 월봉 차트의 CCI지표를 분석해 보자.

테슬라-월봉차트의-CCI-지표-분석
테슬라 월봉차트의 CCI 지표 분석

  • 2019년 9월 매수 타점이 발생한다.
  • 2021년 5월 매도 타점이 발생한다.
  • 2023년 2월 매수 타점이 발생한다.

 CCI 지표를 통해 분석한 매수, 매도 타점이 발생했을 때의 테슬라 주가 상황을 분석해 보자.

테슬라-월봉-차트-분석
테슬라 월봉 차트

  • 2019년 9월 종가 기준 : 15 달러
  • 2021년 5월 종가 기준 : 208 달러
  • 2023년 2월 종가 기준 : 208 달러

 2019년 9월 종가 기준 매수 하여 2021년 5월 종가 기준 매도 하였을 때 1287%의 수익을 거둘 수 있었다. 그리고 최고가 420달러를 찍고 조정을 받아 100달러까지 빠진 후 반등이 시작될 때 재 매수 기회가 찾아왔다. 이렇게 기계적인 매매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반드시 수익이 나는 투자 방법은 아니지만 높은 확률로 수익을 줄 때가 많다.


내가 CCI 지표를 통해 매수할 때 고려하는 부분!!!

  • 타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월봉 차트를 활용한다.
  • 매수 타점 후 다시 매수 타점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3 분할 매수 계획을 한다.
  • 개별 주식은 고점 대비 -80%까지 빠질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도록 한다.

   ※ 일봉, 주봉 차트를 활용하는 경우 빈번한 타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매수, 매도 횟수만 증가하며 수익이 없을 수 있다.


내가 CCI 지표를 통해 매도할 때 고려하는 부분!!!

  • 매도 타점 후 다시 매도 타점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2 분할 매도 계획을 한다.
  • 다시 매도 타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CCI지표가 0 아래로 빠지는 부분에서 전량 매도한다.
  • 수익이 없거나 손실이어도 기계적으로 매도한다.

 이렇게 CCI는 매수, 매도 타점을 잡아 기계적인 투자를 하기에 용이하며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파는 투자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우리는 인간이기 때문에 감정적인 부분을 배제할 수가 없다. 이러한 부분은 투자를 하기 전에 분할 매수, 분할 매도를 계획하여 수익이 조금 작더라도 안정적인 투자를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