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25 미국 기준 금리는 인하 할 것인가? 인상 할 것인가? 급변하는 경제 상황 및 2차 인플레이션 파동 분석!! 미국은 2022년 0.25%의 금리에서 2023년 5.5%까지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올렸다. 이러한 배경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유통 물량의 감소가 발생하고 소비는 여전하기에 9% 가까운 인플레이션의 발생이 있다. 그러면 2024년 현재에는 3%의 인플레이션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5.5%라는 높은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FOMC의 금리 인하 전망? FOMC는 2024년 5.5%에서 4.75%까지 0.75%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었다. 0.25%씩 금리 인하를 한다고 보면 3번의 금리 인하를 할 수 있는 수치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떨어지던 인플레이션이 3%대에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저항이 생긴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있다. 'FED가 금리 인하를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라는 질문을 해본다... 2024. 3. 20. FOMC의 뜻과 역할! 점도표의 역할 및 보는법!! 2024년 FOMC 회의 일정 및 고려하는 지표!! 한국 시간으로 내일 새벽 3월 21일 3시 FOMC 회의 결과가 발표된다. 미국과 관련된 자산에 투자를 하는 투자자라면 FOMC 회의 결과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투자자들은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를 약칭으로 FOMC라 부른다. FOMC는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핵심기관으로 1년간 총 8번의 회의를 통해 미국의 안정적인 경제 발전을 지향하며 최대 고용, 물가 안정, 금융시장 안정을 고려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하여 발표하는 역할을 한다. 미국의 금리를 정하는 데 있어 점도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지표가 고려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점도표란 무엇인가? 점도표는 FOMC를 구성하는 위원들이 자신이 생각하는 미래 금리를 도식화해서 나타낸 .. 2024. 3. 20. 금리란 무엇이며 왜 바뀌는 것인가?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경제상황을 예측하고 분석을 함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것이 금리이다. 금리는 돈이 필요한 사람이 돈을 빌린 후 사용기간 동안에 해당하는 만큼 대가를 지급하는 원금에 대한 비율이라 할 수 있다. 금리가 높다는 것은 현재 시장에서의 돈이 귀하다는 것을 말하며 돈을 빌릴 수만 있다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자산이나 사업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금리가 낮다는 것은 현재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려 있다는 것을 말하며 너도 나도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에게 금리는 더 이상 낯선 것이 아니며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이러한 금리의 원리와 종류 그리고 경제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금리의 결정! '금리는 누가 정하는 것이며 어떻게 바뀌는 것인가?'라는 의문을 가져보자... 2024. 3. 19. 현금 비중법 7:3! 현금도 종목이다!! 현금을 보유해야 되는 이유!!! 지금의 미국 증시는 강세장의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에 직장인의 경우 급여를 통해 매월 투자자금이 생길 때마다 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증시의 경우 항상 강세장만 있는 것도 아니고 강세장 뒤에는 약세장이 반드시 생기게 되어 있다. 이는 산을 오르게 되면 내려와야 하는 자연의 이치와 같은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주식이 하락했을 때 많이 매수를 할 수 있다면 더 좋은 투자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현금도 하나의 종목이다!'라고 생각하며 불타오르는 증시에 막차에 탑승하는 것보다 다음 기회를 노리는 것 또한 좋은 선택이다. 그러면 아래에서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현금도 하나의 종목이 될수 있는 이유! 현금도 하나의 종목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기초적.. 2024. 3. 17. 인간 지표를 무시하지 말자! 인간 지표의 원리와 심리 그리고 신뢰성!! 주변 이야기를 들어보면 주식으로 손실을 입고 비관적인 사람들이 꽤나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의 경우 주변에서 '이주식이 좋다더라 저주식이 좋다더라~', '이주식으로 얼마 벌었네~ 저 주식으로 얼마 벌었네~'의 이야기들을 들으며 포모(FOMO)가 발생하여 뒤늦게 매수를 하고 버블이 터지며 주가는 하락해 손절을 하고 뒤돌아서며 '주식은 절대 안 한다'라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주식을 매수하면 항상 고점인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인간지표들을 가까이하고 어떻게 주식을 하고 있는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면 인간지표의 원리와 신뢰성이 얼마나 뛰어난지 과거 데이터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인간지표란 어떻게 해서 생겨나는 것인가? 주식은 투자자들의 심리 싸움과도 같다. 매수자가 매도자 보다 많을 경우에.. 2024. 3. 1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