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25 가치 투자와 모멘텀 투자의 뜻과 차이점! 장단점!! 주식 시장에 있는 투자자들은 가치 투자자와 모멘텀 투자자 두 가지로 나뉠 것이다. 가치 투자는 현재 기업의 '주가'가 기업의 '청산 가치' 또는 '미래 가치'보다 낮게 거래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말하며 모멘텀 투자자는 현재 기업의 '주가'의 '상승·하락 추세에 대한 기술적 분석'과 '투자자들의 심리 분석'을 통하여 추세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 가치 투자와 모멘텀 투자의 차이를 자세하게 알아보고 두 가지 투자 방법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가치 투자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 주변의 투자자들에서는 경제와 기업 그리고 투자에 대한 공부를 진행한 상태에서 주식 투자를 하는 투자자와 일단 주식 투자부터 하고 내 돈이 들어간 시점부터 공부를 하며 배우는 투자자가 있다. 선행적으로 공부.. 2024. 3. 29. 미국 PCE의 뜻과 중요성! PCE 발표 일정!! 미국 투자를 하게 되면서 FOMC 발표와 연준(Fed)의 정책의 변화를 항상 신경 쓰고 있다. 현재의 미국 경제상황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물가이며 이와 관련된 지표가 PCE이다. PCE는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의 약자이며 한국어로는 '개인소비지출'이라 부른다. 개인소비지출이라 함은 기업이 아닌 비영리 단체와 개인이 상품을 구매한 비용과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소비한 비용을 포함한 것이다. 그러면 연준(Fed)은 왜 PCE물가에 집착을 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PCE(개인소비지출)의 뜻과 중요성! 앞서 PCE는 개인소비지출이라 했으며 이는 개인이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었던 소비 비용을 포함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 개인이 소비를 한 데이터가 발생.. 2024. 3. 27. Rsi지표의 뜻과 원리! 투자 활용법!! 주식 투자에 있어서 투자자들의 심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투자자들의 심리를 파악하고 반대로 행동하여 타점을 잡는 경우에 향후 수익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Rsi지표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많은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주식 투자 지표이다. Rsi는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이며 한국어로는 '상대적 강도 지수'라고 할 수 있다. Rsi는 어떻게 계산할까? Rsi는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지만 계산식은 크게 의미가 없다. 주식 어플이나 프로그램에서 Rsi는 자동적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Rsi의 값이 어떤 의미를 뜻하는지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Rsi = n일 동안의 상승 평균 / (n일 동안의 종가 상승 평균 + n일 동안의 종가 하락 평균) 일반.. 2024. 3. 26. [기술적 분석]주식 차트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자! 코스피 지수 및 삼성전자 주가를 통한 지지 및 저항 분석!! 주식 투자를 하면서 차트를 보고 기술적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단기 투자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장기 투자자에게도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함에 있어 유용한 이정표가 된다. 나에게 '차트를 통한 기술적 분석과 기업의 내재가치 중 어떠한 것이 중요하냐?'라고 물어본다면 '기술적 분석이 80% 기업의 내재가치는 20%의 비율로 중요하다'라고 답할 것이다. 대부분의 기업의 내재가치는 차트에 이미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트로 확인할 수 없는 기업의 업종, EPS, PER, PBR 등 기본적인 지표들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자. 기술적 분석 지지와 저항! 기술적 분석의 지지라는 것은 주가가 하락할 때 .. 2024. 3. 22. [2024년 FOMC 2회 차 발표 결과] 미국 기준 금리 전망 및 경제 상황!! 2024년 FOMC 2회 차 발표가 한국시간 2024년 3월 21일 새벽 3시에 있었다. 오늘 있었던 FOMC 2회 차 결과는 '현재 기준 금리 5.5%로 동결! 연내 기준 금리 0.75% 인하 예정!!'이라는 기조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그러면 FOMC 2회 차를 맞아 발표된 점도표 및 데이터를 통해 경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알아보자. 점도표로 알아보는 기준 금리 전망! 2024년 2회 차 FOMC 점도표가 발표되었다. 올해 예상되는 기준 금리는 4.5 ~ 4.75 %로 기존 5.5%의 금리에서 0.75% 정도 인하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금리 인하의 기조가 생기면서 장기적으로는 2.5%의 중립 금리를 향해 나간다는 전망을 보여 주고 있다. 금리 인하에 대한 전망이 변하지 않고 지속된다면 미국 증시는.. 2024. 3. 2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