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

[기술적 분석]주식 차트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자! 코스피 지수 및 삼성전자 주가를 통한 지지 및 저항 분석!!

by 울산 페페 2024. 3. 22.
반응형

주식-차트-지지-저항-표지

 주식 투자를 하면서 차트를 보고 기술적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단기 투자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장기 투자자에게도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함에 있어 유용한 이정표가 된다. 나에게 '차트를 통한 기술적 분석과 기업의 내재가치 중 어떠한 것이 중요하냐?'라고 물어본다면 '기술적 분석이 80% 기업의 내재가치는 20%의 비율로 중요하다'라고 답할 것이다. 대부분의 기업의 내재가치는 차트에 이미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트로 확인할 수 없는 기업의 업종, EPS, PER, PBR 등 기본적인 지표들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자.


기술적 분석 지지와 저항!

 기술적 분석의 지지라는 것은 주가가 하락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매도세가 감소하고 매수세가 증가하여 주가가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 것이다. 개인 투자자들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주가가 하락했을 때 매도하여 손실을 확정하는 행동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매도하지 않고 다시 주가가 상승할 때까지 보유하는 전략을 많이 취한다. 이렇게 매도세가 줄어들게 되면 매수세보다 작아지게 되고 주가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기술적 분석의 저항이라는 것은 주가가 상승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매도세가 증가하고 매수세가 감소하여 주가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것이다. 개인 투자자들은 단기적으로 주가가 높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을 하면 매수세가 감소하게 되며 기존 보유자들은 충분한 단기 수익이 발생하거나 손실이던 주식이 수익으로 전환하여 매도세가 증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매도세가 증가하면 상승하던 주식이 변환점을 맞이하여 다시 하락하는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삼성전자-일봉-부분-차트
삼성전자 일봉 부분 차트

 선하나를 잘 긋게 되면 수익률이 상승하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을 함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선을 긋는 연습이 많이 필요하다. 위 차트는 삼성전자 일봉 차트를 부분이다. 중앙에 있는 초록색 선을 유심히 보아야 한다. 이는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선은 아니고 임의적으로 선을 그은 것이다. 왼쪽 일봉을 보게 되면 주가가 상승하다가 초록색선 부근에서 2번의 하락이 발생하였다. 그러면 초록색 선이 주가의 상승을 막는 저항선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세 번의 돌파 시도로 저항을 뚫고 주가는 상승했으며 조정을 받게 된다. 이때는 초록색 선이 주가의 하락을 막는 지지선이 되는 것이다. 단기 매매나 스윙 매매를 할 때에는 기술적 분석의 중요성이 크게 상승하며 이러한 지지와 저항을 분석하고 해당 주식을 매수하기 전부터 매수 단가, 익절 단가, 손절 단가를 정하고 들어가야 한다.


코스피 차트 지지 저항 분석!!!

코스피-주봉-차트
코스피 주봉 차트

  • 현재 코스피 지수 : 2743p
  • 상단 저항선 : 2900p
  • 하단 저항선 : 2650p

 위 코스피 주봉 차트의 지지와 저항을 분석해 보자. 코스피는 2023년 하반기부터 2650p에서 3번의 저항을 맞고 조정을 받았다. 이렇게 힘을 모아 결국 2024년 2월에 저항선을 돌파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 코스피는 2744p 위치에 있으며 상단 저항선은 2900p로 약 6% 가까이 상승 여력이 있으며 하단 지지선은 2650p로 약 3% 하락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그러면 여기서 다음 저항대는 어떻게 2900 ~ 3000p를 잡았는지 궁금한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는 이전 고점에서 오랜 시간 주가가 횡보한 밴드이다. 많은 주식 투자자들이 2021년에 2900 ~ 3000p에서 많은 거래를 했고 그 당시 주가에 거래한 주식을 아직 보유하고 있을 것이다. 이들은 2년 넘게 고통의 시간을 통해 인내심의 한계에 달했을 것이며 코스피가 반등하여 자신이 매수한 가격에 도달하면 '매도하고 다시는 주식은 안 한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코스피가 2900 ~ 3000p에 도달하게 되면 많은 저항을 받게 되는 것이다.


삼성전자 차트 지지 저항 분석!!!!

 코스피의 많은 지분을 가지는 기업이 삼성전자이다. '삼성전자가 곧 코스피다!'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코스피가 저항선을 뚫고 상승하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주가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지지와 저항을 분석해 보자.

삼성전자-주봉-차트
삼성전자 주봉 차트

 삼성전자는 2021년 고점을 찍고 장기간 하락했다. 2022년 초 반등이 있었지만 8만 원대 저항을 뚫지 못하고 하락장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현재는 8만 원대 저항선 돌파 시도를 하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에 새로운 모멘텀이 발생하였는데 엔비디아의 CEO인 젠슨 황이 AI반도체의 부품인 HBM부족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전자의 HBM을 시험하고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HBM이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에 합격을 하게 된다면 8만 원대 저항선을 뚫고 신고가를 경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2021년에 8만 원에서 9만 원대까지 물린 투자자들이 많이 있기에 많은 매물들을 소화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크기 때문에 두 번의 시도로 8만 원 돌파는 어려워 보이며 다음 돌파 시기에 품질 테스트 합격 관련 뉴스와 함께 돌파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렇게 우리는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 필요한 기술적 분석의 기본 이론인 지지와 저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투자자마다 선을 긋는 방법이 다양하며 선에는 저점끼리 연결하는 선, 고점끼리 연결하는 선, 지지와 저항으로 가로로 긋는 선 등이 있다. 이런 다양한 선긋기를 직접 해보고 선과 주가가 만나게 되면 어떠한 현상들이 발생하는지 분석해 보길 바란다. 이러한 분석을 실전 투자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면 자신감 있게 타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