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

Rsi지표의 뜻과 원리! 투자 활용법!!

by 울산 페페 2024. 3. 26.
반응형

RSI-표지

 주식 투자에 있어서 투자자들의 심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투자자들의 심리를 파악하고 반대로 행동하여 타점을 잡는 경우에 향후 수익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Rsi지표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많은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주식 투자 지표이다. Rsi는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이며 한국어로는 '상대적 강도 지수'라고 할 수 있다.


Rsi는 어떻게 계산할까?

 Rsi는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지만 계산식은 크게 의미가 없다. 주식 어플이나 프로그램에서 Rsi는 자동적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Rsi의 값이 어떤 의미를 뜻하는지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 Rsi = n일 동안의 상승 평균 / (n일 동안의 종가 상승 평균 + n일 동안의 종가 하락 평균)
  • 일반적으로 n일은 14일을 기준으로 하지만 지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n일을 높이면 되고 지표의 신속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n일을 낮추면 된다.
  • Signal은 Rsi의 이동평균선으로 n(14일) 기준으로 9일 정도로 설정을 한다.

Rsi를 주식 투자에 어떻게 활용할까?

메타-플랫폼스-월봉-차트-Rsi-지표
메타 플랫폼스 월봉 차트 Rsi 지표

  • Rsi의 기본 밴드는 0 ~ 100이다.
  • Rsi가 Signal 지표보다 위에 있을 때는 주가가 상승추세이며, Rsi가 Signal 지표보다 아래에 있을 때는 주가가 하락 추세라는 것이다.
  • 30 이하인 경우에는 과매도 구간, 70 이상인 경우 과매수 구간으로 볼 수 있다.
  • Rsi 지표가 30 이하나 근처에서 Signal지표를 상향 돌파할 때 매수 구간으로 볼 수 있다.
  • Rsi 지표가 70 이상이나 근처에서 Signal지표를 뚫고 내려갈 때 매도 구간으로 볼 수 있다.
  • 위 두 가지 방법의 매수, 매도 타점을 잡는다면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 수 있을 것이다.

Rsi 지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지고 메타 플랫폼스 차트의 Rsi지표를 분석해 보자.

메타-플랫폼스-월봉-차트-Rsi-지표-분석
메타 플랫폼스 월봉 차트 Rsi 지표 분석

  • 2021년 9월 매도 타점이 발생한다.
  • 2022년 12월 매수 타점이 발생한다.

Rsi 지표를 통해 분석한 매수, 매도 타점이 발생했을 때의 메타 플랫폼스 주가 상황을 분석해 보자.

메타-플랫폼스-월봉-차트
메타 플랫폼스 월봉 차트

  • 2021년 9월 종가 기준 : 325 달러
  • 2022년 12월 종가 기준 : 120 달러
  • 2024년 3월 현재 기준 : 503 달러

 메타 플랫폼스의 주식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다 2021년 9월 매도 신호가 나오고 2022년 12월 종가 기준 매수 신호가 나왔다. 그리고 2024년 현재 보유 중이면 320%의 수익을 얻고 있을 수 있었다. 추후 주가가 빠지면서 매도 타점이 발생할 수 있지만 향후 주가가 더 갈지 아니면 조정을 받으면서 매도 신호가 나타 날지는 누구도 예상할 수 없다. 이렇게 매수, 매도의 상대강도를 통해 투자자들의 심리를 숫자와 그래프로 확인하여 기계적인 매매를 할 수 있다.


 이렇게 Rsi는 매수 강도가 이동평균선 보다 높을 때 주가가 상승한다는 이론을 통해 과매도 구간에서 저점 매수를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Rsi지표를 메인으로 잡고 실전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았다. 매수 타점은 쉽게 잡을 수 있었지만 30 ~ 70 밴드 구간에서 Rsi지표가 Signal을 위, 아래로 움직이며 자주 매수, 매도 신호가 발생하기 때문에 경험이 적은 투자자라면 혼란스러울 수 있다. Rsi를 보조 지표로서 활용하며 경험을 쌓아 나간다면 Rsi 지표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되었을 때 투자에 활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