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및 경제 지식

ETF 란 무엇인가? 개념, 장점, 단점, 투자 방법!

by 울산 페페 2024. 2. 24.
반응형

ETF표지-계란을-한바구니에-담음으로-비유

 주식을 접하게 되면서 ETF라는 용어를 들을 때가 있다. ETF(Exchange Traded Fund)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금융 상품이다. 내가 투자할 주식을 고를 때에는 다양한 관점이 포함된다. 이는 테마가 될 수도 있고 영업이익을 볼 수도 있고 저 PBR, 장기우상향 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하여 내 자본금이 일을 할 수 있도록 투자를 할 것이다. 하지만 ETF는 증권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금융 상품이며 개별 주식을 고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면 펀드랑 무엇이 다른가?라는 생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ETF는 개별 주식처럼 매매를 할 수 있는 장점으로 개별주식의 장점과 펀드의 장점을 모아서 만든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ETF의 장점은 무엇인가?

  •  ETF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개별주식을 선별함에 있어 필요한 시간 소요를 줄여준다.
  • 매수한 ETF의 성격과 보유 주식의 성격이 달라지면 관리자가 리밸런싱을 거친다.
  • 소액이라도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가 가능해진다.
  • 나스닥, S&P500, 코스피, 코스닥과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매매를 할 수 있다.
  • 개인이 하기 힘든 공매도를 인버스라는 ETF를 통해 쉽게 할 수 있다.
  • 펀드에 비해 적은 운용보수로 거래를 할 수 있다.

ETF의 단점은 무엇인가?

  • 분산투자를 함으로 인해 극단적인 수익률을 만들기 어렵다.
  • ETF는 총 보수비용이라는 수수료가 발생하나 종목마다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하나 찾아보는 번거로움이 있다.

       ※ 예를 들어 연간 보수비용이 1% 일 경우 주가 거래 당일마다 조금씩 수수료를 책정하여 주가에 반영하며 이를 연간 비용으로 합산하면 1%가 될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수수료가 어떻게 나가는지 생각할 필요는 없다.


ETF 투자 방법!!

 나스닥이라는 지수를 추종하는 ETF인 QQQ라는 종목이 있다. 해당 종목을 꾸준히 매수해 나가면 장기적으로 실패가 없는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린 이미 레버리지의 늪에 빠져 살고 있다. 집을 살 때만 해도 70%~ 80%의 대출을 끌어다가 구입을 하기도 하고 신용대출을 통해 주식투자를 하기도 한다. 이렇게 내 여유자금이 아닌 빚을 통해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레버리지라고 할 수 있다. ETF도 레버리지가 가능하며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시장수익 그 이상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하는 ETF투자는 나스닥 지수를 2배 추종하는 QLD와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이다. QLD는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QQQ 2배 레버리지 ETF이며,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는 국내상장되어 있는 QLD에 달러 환율 2배 레버리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두 가지를 사는 이유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매년 250만 원 비과세 혜택과 ISA계좌의 분리과세 9.9%의 혜택을 모두 누리기 위한 절세 전략이다.
 

1. QLD (정식 명칭 : ProShares Ultra QQQ)

QLD-월봉-차트
QLD 월봉 차트

구  분 상 장 일 시 가 총 액 (달러) 시 가 총 액 (한화) 수수료
QLD ETF(QQQ 2배) 2006년 6월 21일 6.17B 8조 2184억원 0.95%

 
 QLD의 상장일인 2006년부터 현재 2024년까지의 흐름을 보면 2배 레버리지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장기적으로 우상향을 하고 있다. 이전 글에 이야기한 것과 같이 적립식으로 매수하며 시간에 투자를 하게 되면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나의 기본적인 매수전략은 매월 1회 적립식 매수로 진행을 하고 있다. 그리고 여러 개의 계좌에 다양한 매수단가를 포진시켜 놓고 한 번씩 매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250만 원어치 해당 종목을 매도, 매수하고 있다. 그리고 한 번씩 크게 낙폭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다른 투자방법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방법은 다음에 설명하겠다.
 

2.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

TIGER-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주봉-차트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주봉 차트

구  분 상 장 일 시 가 총 액 (한화) 수수료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2022년 2월 22일 584억원 0.25%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 ETF는 상장일이 이제 2년을 넘어가고 있다. 오래되었다면 위에서 본 QLD와 유사한 차트를 보였을 것이다. 해당 ETF의 국내 상장된 ETF로 ISA계좌를 통한 매매가 가능하다는 매우 큰 장점이 있다. 추후 매도 시 ISA계좌를 통해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를 거래하게 되면 분리과세를 통해 9.9%만 발생함으로 양도소득세 22%가 발생하는 QLD보다 뛰어난 장점이 있다.
 

3. QLD와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 ETF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

구  분 상장 국가 환 노 출 환전 수수료 운용 수수료
QLD 미국 1배 있음 0.95%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
국내 2배 없음 1.2%(0.95%+0.25%)

 QLD와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의 상장 국가에서 오는 장단점을 통해 장점만 취할 수 있는 방법을 앞에서 소개했다. 그러면 환노출, 환전 수수료, 운용 수수료 등을 고려해서 어떠한 ETF가 더 나은지 비교해 보도록 하자.

  •  미국주식이 상승하면 환율은 낮아지고 미국주식이 하락하면 환율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환노출이 2배인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는 QLD에 비해 주가 변동폭이 작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년간 운용 수수료 0.25%의 차이를 커버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의 경우 원화로 바로바로 거래를 하기 때문에 환전수수료 또한 걱정할 부분이 없다.
  •  두 개 중 하나만 투자를 한다고 하면 개인적으로는 QLD보다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합성)를 추천한다.

 이렇게 나스닥 2배 ETF를 적립식 매수를 하면 증시의 장기적인 우상향과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시장 수익 이상의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적인 안목과 적금을 든다는 마음으로  월 1회 적립식 매수 설정을 해놓은 뒤 쳐다보지 않아도 되는 마음 편한 매매를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시간이 당신을 부유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반응형